ls : 작업중인 현재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 및 디렉토리 출력
- ls는 list의 약어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안의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
(숨김 파일은 출력 X, GUI로 일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용만 출력)
ls
현재 위치한 절대 경로는 /Users/wk/Test이며 Test안의 내용으로 Test1, Test2가 있다는 의미
ls -a 또는 ls -A : 숨김파일을 포함하여 출력
- ls -a : ls를 이용하여 디렉토리의 내용물을 출력할 때 숨김파일로 설정되어 있는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출력함.
- ls -A : . 또는 ..을 제외하고 모든 파일을 출력할 때 ls -A 옵션을 사용
ls -a
ls -A
하늘색을 표시된 디렉토리가 숨김파일로 처리되어 있는 디렉토리
ls -l : 파일 목록 상세하게 출력
- ls를 이용하여 디렉토리의 파일을 출력할 때 상세하게 출력
- 숨김파일을 포함하여 출력하는 -a 옵션과 같이 사용하면 숨김파일까지 상세하게 출력할 수 있다.
ls -l
ls -al # 옵션의 순서는 상관없음
ls -i : inode 번호와 같이 출력
- 여기서 inode란 간단하게 말하면 Linux/Unix의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를 의미함.
ls -i
ls -F : 파일의 종류 출력
- ls를 이용하여 현재 디렉토리 내의 내용물의 리스트를 출력할 때 폴더인지, 파일인지 등 종류를 함께 출력할 때 사용
ls -F
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 구별하기 더욱 편함
ls -R : 하위 디렉토리 목록까지 모두 출력
-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옵션
- ls를 이용해서 디렉토리 내의 내용물을 출력할 때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 목록까지 모두 출력
(단, 최상위 폴더 및 사용자 폴더에서 사용할 때 엄청난 스크롤을 보게 됨..)
디렉토리의 내용물과 함께 내용물 중 디렉토리가 있다면 해당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출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