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I : Command Line Interface ?
CLI의 기본 개념
- 명령 줄 인터페이스 또는 명령어 인터페이스는 가상 터미널 또는 터미널을 통해 명령어(텍스트)만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. (ex. 바탕화면 이동 명령어 실행 > 리스트 출력 명령어 실행 > 폴더1, 폴더2, 폴더3, 폴더4... > 폴더3 이동 명령어 실행 > 폴더3으로 이동)
- 반대의 의미의 제어 방식으로는 GUI (Graphic User Interface)가 있다. GUI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의 제어 방식으로 마우스와 모니터와 키보드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제어한다. (ex. 바탕화면 > 폴더1, 폴더2, 폴더3, 폴더4... > 폴더3 클릭 > 폴더3으로 이동)
- 위의 예를 보면 CLI가 더 번거롭고 복잡한데 왜 CLI를 왜 사용하는 걸까?
CLI 필요성
안정성과 속도
- GUI는 사용자가 쉽게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, 그래픽에 컴퓨터 자원을 많이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CLI에 비해 느리다.
- 반면, CLI는 출력에 그래픽 작업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의 자원을 적게 사용하며, 더 빠르게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- 또한 AWS, Amazon Web Service의 클라우드 컴퓨팅처럼, 대량의 서버 컴퓨터를 설치해야 하는 상황에 GUI를 적용하기 위해
컴퓨터마다 I/O 소스(키보드, 마우스, 모니터 등)을 부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.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관리자 권한 (0) | 2022.07.06 |
---|---|
[Linux]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(0) | 2022.07.03 |
[Linux] 터미널과 쉘(Shell)의 차이점 (+콘솔) (0) | 2022.06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