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잇
강이의 개발블로그
강잇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02)
    • Langauge (32)
      • Java-basic (29)
      • Java (3)
    • SpringBoot (7)
    • Algorithm (5)
      • BAEKJOON (5)
    • WEB (7)
      • HTML & CSS (7)
    • DB (1)
      • MySQL (1)
    • OS (17)
      • Mac (2)
      • Linux (4)
      • Terminal Command (11)
    • Computer Science (7)
      • Hard ware (1)
      • Database (1)
      • Data structure (2)
      • Algorithm (2)
      • Network (1)
    • Git (5)
      • 개념 (1)
      • 활용 (1)
      • Trouble Shooting (2)
    • ETC. (13)
      • Install (6)
      • IntelliJ (1)
      • Eclipse (2)
      • Error (3)
      • Tip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메소드
  • 자바
  • 메서드
  • 알고리즘 공부
  • 백준
  • til
  • CSS 박스 크기 설정
  • CSS 속성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강잇

강이의 개발블로그

Computer Science/Database

[DB] Database와 DBMS

2022. 8. 18. 03:30

데이터베이스(Database)

데이터베이스란?

  • 응용 시스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운영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통합하여 컴퓨터에 저장한 데이터를 의미한다.
  • 여러 명의 사용자, 다수의 시스템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.

데이터베이스의 특징

  • 실시간 접근성(Real Time Accessibillty) : 사용자의 질의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로 응답한다.
  • 계속적인 진화(Continuous Evolution) : 데이터의 삽입, 삭제, 갱신을 통해 정확한 데이터를 동적으로 유지한다.
  • 동시 공유(Concurrent Sharing) :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.
  • 내용에 의한 참조(content Referense) : 데이터의 저장된 위치가 아닌 데이터의 내용을 참조하여 접근한다.
  • 데이터 논리적 독립성(Independence) :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시킴으로써 데이터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키더라도 응용프로그램은 변경되지 않는다.
  • 뛰어난 데이터 간의 연계성(Superb Data combination) :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의 관련된 정보들로 연결되어 있다.

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

  • 과거에는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을 사용했다고 한다.
  •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할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.
    • 데이터의 종속성 : 파일 구조가 변경되면 응용프로그램도 변경해야 한다.
    • 데이터의 중복성 : 한 시스템 내의 데이터가 중복 저장 및 관리되어 데이터가 중복 저장되게 된다.
      • 경제성 : 데이터를 사용할 때마다 파일 전체를 읽어야 하며 데이터가 중복되어 저장되면 추가적인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.
      • 효율성 :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작업을 할 수 없다.
      • 보안성 : 파일을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도 수정할 수 있어 보안성이 떨어진다.
      • 일관성 : 데이터 중복이 있을 경우 동일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비효율적이다. 
  •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면서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 DBMS가 등장했다.

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 -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

DBMS란?

  • 데이터의 집합인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및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.
  • 대표적으로 MySQL, 오라클, MariaDB 등이 있다.
  • DBMS의 유형은 계층형(Hierarchical), 망형(Network), 관계형(Relational), 객체지향형(Object-Oriented), 객체 관계형(Object-Relational) 등으로 분류된다.

DBMS의 장단점

장점

  • 중복 제어 : 데이터가 여러 위치에 중복 저장되는 현상을 방지한다.
  • 접근 통제 : 데이터 접근 권한을 통제할 수 있다.
  • 관계 표현 : 데이터간의 다양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.
  • 무결성 제약 조건 : 무결성에 관한 제약 조건을 정의 및 검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

단점

  • 운영비의 증대 : 파일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운영비용이 많이 든다.
  • 복잡한 백업과 회복 : 구조가 복잡하고 동시 공유로 인해 백업 조치나 사후 회복 기법을 수립해 놓는 것이 어렵다.
  • 시스템의 취약성 : DBMS는 통합된 시스템으로 일부의 공장이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끼쳐 시스템 신뢰성과 가용성을 저해할 수 있다.

Reference

https://namu.wiki/w/DBMS

https://m.blog.naver.com/sundooedu/221301384166

 

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의 정의와 종류

데이터들이 모여있는 데이터들의 집합인 데이터베이스(Database)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...

blog.naver.com

https://codedragon.tistory.com/3802

 

데이터베이스 - 파일 시스템(파일 처리 시스템), 파일시스템의 문제점

    Database(데이터베이스: DB) 유용한 데이터의 집합(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한 연관된 정보의 집합) 즉, 특정 주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그 데이터의 성격에 맞도록 잘 설계하여

codedragon.tistory.com

 
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    강잇
    강잇
    학습한 내용을 정리 및 기록하는 블로그

    티스토리툴바